미국 경제 동향
ㅇ 마약 밀매 및 불법 이민 문제를 이유로 멕시코 및 캐나다에서 수입되는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계획의 적용 일자인 3월 4일이 다가오며 텍사스를 비롯한 국경 지역 경제부터 타격이 예상되는 가운
데 Goldman Sachs는 고율 관세로 인해 미국 인플레이션이 0.7% 증가하고 국내총생산(GDP)이 0.4% 감
소할 것이라고 전망.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2월 27일(목) 기존 10%였던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3월 4
일부터 추가로 10% 인상하여 총 20%의 관세를 부과할 계획을 발표. 중국 정부는 이에 대응하여 자국산
석유, 석탄 등에 추가 관세를 부과 계획하는 등 맞대응을 시작. 더불어 트럼프 대통령은 2월 27일(목) 유럽
연합(EU)에서 수입하는 제품에 대하여 25% 관세를 부과할 계획을 발표. 이외 철강과 알루미늄에 이어 미
국에 수입되는 구리 및 구리 제품에 대한 보편 관세 부과를 검토하는 조사를 지시하는 등 연이은 행정명
령 조치로 글로벌 경제에 불확실성이 증폭되고 있는 상황. 한편 3월 4일(화)에 트럼프 대통령의 의회 연설
이 예정되어 있어 이후 경제 영향 및 시장의 반응이 주목되는 상황
ㅇ 트럼프 대통령의 고율관세 부과 우려 속에 미국 정보기술 대기업 Apple이 향후 4년간 미국에 5,000억 달
러 이상을 지출, 투자할 계획이라고 24일 블룸버그 통신이 보도. Apple은 텍사스주 휴스턴에 새 공장을
짖고 첨단제조기금(Advanced Manufacturing Fund)을 두배로 확대하며 AI 투자를 증대하겠다고 발표.
이는 미국 외 지역에 생산기지를 두고 Global sourcing을 통해 가격 경쟁력을 확보해 큰 이익을 창출하
던 Apple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정책에 굴복해 생산계획을 바꾼 것으로 시사하는 바가 큼.
트럼프 1기 때 Apple은 팀 쿡 CEO가 트럼프를 설득해 관세 면제를 얻어낸 바 있음.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
의 반대로 풍력 에너지 기업들이 일부 프로젝트를 연기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 트럼
프 대통령은 앞서 “우리는 풍력 발전을 하지 않을 것”이며 “크고 보기 흉한 풍력 터빈이 주변을 망친다” 라
고도 함. 트럼프 대통령의 한마디에 산업계 전반이 크게 흔들리는 일들이 지속 발생 예상
해상화물 시장 동향
ㅇ 북미 Vessel, Rail Dwell time (Week 9 / Flexport)

ㅇ 미무역 대표부(USTR), 중국 해운회사 및 선박 제재(안) 발표
미무역대표부(USTR)가 미국 항구에 입항하는 중국 해운회사와 중국산 선박에 높은 수수료를 부과하는
제안서를 발표. 컨테이너 선박은 일반적으로 Loop당 2-3개의 미국 항구에 기항을 하는데 이 Proposal
에 따라 중국은 Trip당 300만 달러 이상의 추가 비용에 직면할 수 있으며 이는 TEU당 $250-$300에 해당.
중국의 미국산 선박은 18척에 불과하여 이 Proposal이 시행될 시, 상당한 타격 예상
ㅇ ILA (미동부 및 Gulf항만 노조), 새로운 6년 계약 비준
국제항만노동자협회(ILA) 회원들은 미국 동부 및 걸프 연안 항구를 포괄하는 새로운 6년 마스터 계약을
비준. 새로운 계약은 2024년 10월 1일부터 소급 적용되며 2030년 9월 30일까지 유효하고 3월 10일 공식
체결될 예정. 사측인 USMX는 터미널 장비의 원격 운영과 항구에서 운영자 지원 기술 사용을 통해 효율성
을 높일 수 있는 여지를 확보했다고 주장하나 62%의 임금 인상과 함께 이전 계약과 마찬가지로 새로운 계
약에는 인간의 감독이 없는 모든 유형의 완전 자동화를 구현하는 해양 터미널에 대한 금지가 포함되어 있
고 터미널내 반자동화 기술을 구현하려면 보다 철저한 심사 과정을 거치게 함으로써 노조의 완전한 승리
로 귀결. 이에 따라 극심한 Congestion으로 각종 Extra 비용에 시달리는 미동부 및 Gulf 항만의 생산성 향
상은 당분간 기대하기 어려울 전망
항공화물 시장 동향
ㅇ 트럼프 대통령의 중국 전자상거래 단속으로 2월 항공 수요는 제자리걸음
2025년 2월 항공 화물 수요는 성장 둔화로 전년 대비 2% 증가하는 데 그침. 특히 중국에서 미국으로의 e-
Commerce 수요는 De-minimis 혜택의 폐지 유무와 관세, 무역 규제 때문에 앞으로도 급격히 감소할 가
능성이 여전히 존재. 이는 항공 화물 물량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며 전문가들은 지정학적 긴장
과 인플레이션 우려 속 수요 둔화를 전망함. 더불어 De-minimis 폐지 시 물류 과정이 더 복잡해지며 배송
지연 및 비용 증가, 소비자물가 상승 등 다양한 후폭풍이 예상됨. 반면 업계의 일부 전문가는 “단기적으로
는 효율성과 생산성에 큰 타격을 입히고 각 단계마다 비용이 추가될 것이나 장기적으로는 수출업체들이
개별 B2C 국제 소포 배송에서 보다 효율적인 미국 내 대량 운송 수단으로 전환할 가능성이 높다”고 긍정
적 측면을 부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