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미국 물류 소식 [May 31, 2025]

  • chullee2
  • Jun 1
  • 2 min read




ㅇ 미국 경제가 2% 대의 낮은 Inflation과 4% 내외의 실업률로 거의 완전 고용에 가까운 경제 지표를 보이고 있음에

도 불구하고 연준(Fed) 위원들이 이달 6~7일 열린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 회의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인플레이션 위험과 실업 위험이 동시에 커질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됨. 이로써 9월 이전

에 연준이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크게 하락했으며 월가는 연준이 오는 6월 18일 열리는 FOMC 회의에서 금리

를 동결할 가능성이 확실할 것으로 예상 중.

   아래 Graph는 연방 기준 금리 추이 (그림자 부분은 경기 침체 시기)


ㅇ 연방 국제통상법원(CIT) 재판부가 28일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부과가 무효라며 발효를 중지하는 결정을 내

린 것에 대해 29일 곧바로 연방 항소법원이 ‘내달 9일까지 일시 정지’를 명령하면서 트럼프 행정부 관세 정책의 운

명이 반전에 반전을 거듭 중. 이에 따라 관세 정책 불확실성이 짙어지면서 미국의 무역 상대국들이 차후 미국과의

협상에 소극적으로 나설 공산이 커질 것으로 여러 전문가들이 전망. 그러나 백악관은 즉각 법원에서 향후 관세 금

지 판결이 확정되더라도 관세 부과를 위한 다양한 법적 수단이 있기 때문에 현재 진행되고 있는 다른 나라와의 관

세 협상에는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6월 1일 부로 EU에 대한 50% 관세 부과를

시사한 지 이틀만인 25일 이를 7월 9일까지 연기하겠다고 발표

 



 



ㅇ TPEB(Trans Pacific East Bound) 동향

  • Demand : 미중 Tariff 협상 잠정 합의에 따른 억눌린 수요 및 Back-to-school 등 성수기 수요가 더해져 

    Booking 급증.  동수요 급증 현상 최소 2분기 까지 지속 전망. 최소 한달 전 사전 Booking 필요

  • Vessel 공급 : 중국발 수요 급증에 대응하여 Vessel 추가 투입 중이나 노선 조정에 따른 Lead time 소요로 6월

    말경에나 완전한 공급 회복이 이루어질 전망. 현재는 평상시 대비 80~85% 수준 (아래 TPEB 노선

    공급표 참조)                      

 

  • Equipment : Container 확보에 큰 문제없는 상황. Chassis 공급도 Issue화 되지 않는 상황

  • Rates : 수요 급증 및 Vessel 공급 부족으로 6/1일부 GRI(Container당 $3,000 인상) 및 성수기 할증료(PSS) 완전 적용         

 

  • 그러나 아직 미국 서부 항만 영향은 없는 상황 (아래 북미 Vessel Dwell Time 참조)             

ㅇ 중국발 화물 급증으로 상해에 이어 싱가포르항만으로 적체 전이

    미국의 중국에 대한 90일간의 관세 유예 물량이 쏟아지며 상해항이 심각한 적체현상을 보이는 가운데 세계 최대

의 환적항만인 싱가포르항이 선사의 Network 재구성 등으로 Container선 입항이 급증하면서 큰 혼잡을 보이고

있다고 업계 소식통들이 전언. 한편 관세 유예 기간 동안 급격히 증가한 중국발 물량을 실은 선박들이 서부항만에

도착하기 시작함에 따라 6월에 항만 혼잡이 미국 서부 항만으로 확산될 것으로 예상됨. 그러나 LA 항만 대표인

Gene Seroka는 팬데믹 보다 약한 수요 급증에 대해서는 준비가 되어 있다며 오히려 항만 밖에서 일어날 병목 현

상에 대해 우려. 특히 철도 운송 용량, 창고 공간, 그리고 컨테이너 운송에 필수적인 섀시(Chassis)의 부족이 훨씬

더 심각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 결국 이러한 병목은 항만을 넘어 물류 전반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가 커지는 중

 

 


 



ㅇ 중국발 미국행 물량 큰 폭 회복

    미중 관세 유예 전 전년비 30% 가까이 감소했던 중국발(홍콩 포함) 수요가 21주차에 들어서며 큰 폭의 회복세를

보여 전년비 14% 감소세로 전환된 것으로 나타남. WorldACD가 지난 6주간의 Data를 비교한 결과 중국에서 미

국으로의 항공화물 수출은 2024년 같은 기간에 비해 -1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18주차와 19주차에 큰 폭

으로 하락한 후 21주차에는 -5% 차이로 2024년 수준으로 거의 회복된 것으로 나타나 시장의 기대가 커지는 상

황 (아래 Graph 참조)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