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물류 소식 [Jul 5, 2025]
- chullee2
- Jul 5
- 2 min read

ㅇ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이 물가 상승과 실업 증가를 가져올 것이란 우려에도 불구하고 물가는 안정되고 실업률
은 오히려 하락. 3일 미노동부 발표에 따르면 6월 미국 실업률은 4.1%로 전월 대비 하락했고 시장의 예상치인
4.3% 에도 못 미침 (아래 첫번째 Graph 참고). 경기 침체 우려가 사그라들며 시장의 연준(Fed)에 대한 금리 인하
기대도 급격히 하락. 반면 트럼프 대통령의 Powell 의장에 대한 금리 인하 압박은 더욱 거세짐. 한편 관세 여파로
미국 백화점의 가격 인상이 가속화되고 있다고 CNBC가 보도. DataWeave에 따르면 Macy’s의 신발 가격은 평
균 4.2%, Nordstrom은 3.1% 상승했으며 (아래 두번째 Graph 참조) 의류나 가방도 전반적으로 높은 가격 상승을
기록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도 불구하고 물가가 크게 상승하지 않는 이유로 “미국 물가는 Pandemic 이후 충분
히 올랐기 때문에 관세로 인한 물가 상승은 제한적일 것” 이라고 일부 전문가들이 지적. 그러나 약달러가 지속되
며 관세 상쇄 효과가 약화되고 관세 협상이 타결되어도 주요국에 대한 10~50%의 고율 관세는 여전할 것이라는
전망으로 물가 상승 여지가 클 것으로 다수 전문가가 전망
ㅇ 트럼프 대통령이 집권 2기 국정과제의 핵심 내용을 담은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One Big Beautiful Bill Act OBBBA 법)’ 이 의회의 승인을 받으며 집권 5개월만에 감세, 이민 등 핵심 국정의제에 대한 법제화를 완료. 저소
득층 지원 축소에 따른 정치적 역풍, 대규모 감세로 인한 재정적자 확대 우려 등에도 불구하고 트럼프 대통령의 승
부수가 통했다는 평가. 이에 따라 큰 짐을 덜게 된 트럼프 대통령의 향후 행보가 매우 주목되는 상황

ㅇ 북미 Vessel Dwell Times

ㅇ 미/베트남 관세 협상 타결
7월 2일, 트럼프 대통령이 트루스 소셜을 통해 베트남산 상품에 20%, 미국으로 환적되는 상품에 40%, 베트남으
로 수입되는 미국 상품에 0%의 관세를 적용하는 베트남과의 무역 협정을 발표. 베트남에 대한 관세율은 남은 국
가들과의 협상 타결에 Benchmark로 활용될 전망. 한편 트럼프 대통령의 90일간의 상호 관세 유예가 끝나는 7
월 9일까지 채 5일도 남지 않은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은 임시 관세 유예 기간을 연장할 것 같지 않다고 밝혔지만
"그럴 수 있다, 큰 문제는 아니다"라고 말하며 여지를 남겨 연장 가능성도 있을 것으로 전망. 아무튼 이제 사람들이
인정하고 싶지 않았던 '자유무역시대'는 완전히 물 건너간 상황

ㅇ 아시아발 미국행 시장 동향
WorldACD에 따르면 6월 한달 중국 및 홍콩발 항공화물 물동량이 전년비 1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관세 부과
전인 3월 대비 해서도 15% 감소한 것으로 집계되어 물동량 지속 감소 추세. 전체 시장 평균 가격도 $4.73/kg 으
로 작년 $5.10/kg 대비 16% 하락. 다만 최근 10여일은 Amazon Prime Day 세일 행사(7월 8~11일) 여파로 반
짝 반등하며 공급 부족 현상도 발생. 반면 중국과 홍콩을 제외한 아시아 태평양 국가발 미국행 전체 시장 평균 가
격은 6월에 $5.19/kg 로 전월 대비 약 10% 상승 및 2024년 6월 수준을 유지
ㅇ De Minimis 영구 폐지 (2027년 7월 부)
‘One Big Beautiful Bill ActOBBBA 법)’ 통과로 2027년 7월 부터 모든 국가로 부터 수입되는 상품에 대한 De
Minimis 적용이 영구적으로 폐지됨